■ 재활용의 판을 바꾸다! 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
ㅇ 플라스틱은 어떻게 처리될까요?
- 폐플라스틱의 50%는 매립되고 19%는 소각돼요.
- 하지만 침출수와 매립 가스가 유출될 수 있고,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죠.
- 소각용량 한도 초과, 매립지 잔여 용량 감소 문제도 있어요.
ㅇ 플라스틱 재활용은요?
- 플라스틱을 선별 후 분리하여 기존 형태로 재생하는 방식인 물리적 재활용이 일반적이나, 재활용이 반복될수록 품질이 저하되며 단일 재질에만 적용 가능한 한계가 있죠.
ㅇ 새로운 대안 '화학적 재활용'
- 화학적 재활용이란, 고분자의 형태인 플라스틱을 화학 반응을 통해 기존 원료였던 단량체, 올리고머 등으로 전환하는 재활용 방식이에요.
- 재활용 횟수에 제한이 없고, 새 제품처럼 좋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죠.
ㅇ 화학적 재활용 이렇게 해요
- (열분해) 폐플라스틱(PE, PP등) → 열분해 → 고분자 사슬을 끊어 오일, 가스 생성
- (가스화) 폐플라스틱 → 가스화 → 플라스틱을 합성가스로 전환, 온도조건에 따라 탄솨수소 생성
- (해중합) 폐플라스틱(PET, PA, PU) → 원래의 단량체
ㅇ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렇게 하고 있어요 ①
- (LG화학) 당진에 연간 2만 톤 규모 열분해유 공장 건설 중이에요.
- 코스맥스에 재활용 고부가합성수지 공급을 시작으로 다양한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로 확대할 예정이죠.
- (출처) KISTEP,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
- (제주삼다수) SK케미칼의 화학적 재활용 PET ‘SKYPET-CR’로 만든 친환경 리본병 출시했어요.
- (출처) 연합뉴스 보도자료, 2023
ㅇ 우리나라 기업들은 이렇게 하고 있어요 ②
- (롯데케미칼) ‘ECOSEED’ 브랜드로 2030년까지 연 100만 톤 리사이클·바이오 플라스틱 판매를 목표해요.
- 또한, 해중합 설비에 1조 원 이상 투자 중이죠.
- (출처) 스마트에프엔 보도자료, 2025
- (SK지오센트릭) 울산에 연 32만 톤 규모의 ARC 단지를 조성하여 2026년 이후 가동 예정입니다.
- (출처) 스마트에프엔 보도자료, 2025
ㅇ 전 세계 흐름은?
- 전 세계적으로 화학적 재활용을 순환경제 핵심 기술로 보고, R&D 지원과 세제 혜택을 주고 있어요.
- (EU) CBAM에서 플라스틱을 대상 품목에 포함하는 규제에 의한 시장확대가 예상됩니다.
- (미국) 18개 주에서 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을 촉진하는 법률을 통과시켰어요. 환경보호청(EPA)은 2030년까지 재활용률 50% 달성 전략방안을 제시했어요.
- (대한민국) 폐플라스틱 기반 석유 소재 대체기술을 개발 중이며, 열분해유에서 단량체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하고 있어요.
- 화학적 재활용 기술은 플라스틱을 새것처럼 무한히 되살릴 수 있어요.
- 기술 발전과 정책 지원이 함께한다면, 진정한 ‘돌고 도는 순환 자원 사회’를 만들 수 있어요.
출처ㅣKISTEP 발간물(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, 2023.11.30, https://www.kistep.re.kr/board.es?mid=a10306010000&bid=0031&act=view&list_no=43665)
(25ME-056) 재활용의 판을 바꾸다! 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.pdf(다운로드 : 8 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