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경인사이드

대체서식지 지정부터 사후관리까지!

환경분야
자연보전
게시일
2025.10.13
조회수
17
내용

 

■ 대체서식지 지정부터 사후관리까지!


ㅇ 대체서식지란 무엇인가요?

- 도로나 택지 개발 등으로 생물서식지가 훼손될 경우, 생물들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새롭게 조성하는 서식지예요.


ㅇ 왜 대체서직지가 필요한가요?

- 개발로 인해 생물들의 보금자리가 사라지면 생물 다양성은 급격히 감소하고, 생태계 균형이 무너질 수 있어요.

- 그래서 환경부는 2025년 지침 개정을 통해 개발사업자가 반드시 보전 책임을 지도록 규정했어요.

- 이제는 자연 훼손의 보상책이 아닌, 사전 계획의 필수 요소예요.


ㅇ 자연방사 VS 대체서식지

- 자연방사 > 외부조성 > 대상지 내 조성 > 원형보전

- 과거에는 멸종위기 야생동물을 포획해 낯선 환경에 방사하는 자연방사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포획 자체를 최소화하고 원형 보전이나 대상지 내 조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어요.


ㅇ 대체서식지는 이렇게 만들어져요!

- 이제 대체서식지는 아래 7단계로 체계적으로 만들어져야 해요!

- 현황조사 입지검토 조성계획수립 설계 시공 포획허가 사후관리

- 또한 이번 지침에서는 각 단계별 참여 기관, 작성 문서, 관리 주체를 명확히 제시했어요. 협의기관, 생태전문가, 사업자, 지자체가 함께 참여해야 해요!


ㅇ 어떻게 설계하고 시공하나요?

- 이번 지침에서는 10-20-30 원칙의 식재 기준을 제시했어요.

- 같은 종 10% 이하 / 같은 속 20% 이하 / 같은 과 30% 이하

- 이렇게 하면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서식 환경을 만들 수 있어요.


ㅇ 함께 지키는 미래

- 또한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해 개체수 변화, 서식 안정성, 식생 유지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절차도 명시했어요.

- 이제 대체서식지는 개발과 환경보전이 공존하는 공식 시스템으로서, 생물다양성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핵심 기준점이 되었답니다.


출처 ㅣ 환경부 대체서식지 업무처리지침 (https://me.go.kr/home/web/policy_data/read.do?pagerOffset=0&maxPageItems=10&maxIndexPages=10&searchKey=&searchValue=&menuId=10259&orgCd=&condition.toInpYmd=null&condition.fromInpYmd=null&condition.deleteYn=N&condition.deptNm=null&seq=8476)


태그
#카드뉴스 #자연보전 #대체서식지 #환경영향평가
첨부파일

상세 검색

상세검색폼
~
환경분야
대륙/국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