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태양광 패널부터 전기차 배터리까지, 미래폐자원
ㅇ 친환경 기술도 시간이 지나면 폐기물이 된다는 사실, 알고 있었나요?
- (태양광 패널) 2050년 60~78백만t 폐패널 발생 전망, "햇빛 받던 시절이 그립다..."
- (전기차 배터리) 2040년 4,636만대 폐차 발생 전망, "나 아직 고철은 아니야!"
- (풍력 블레이드) 풍력 발전 증가로 유리섬유 블레이드 폐기물 증가 전망, "버리기엔 난 너무 커..."
ㅇ 수명이 다한 태양광 패널이나 전기차 배터리, 풍력 블레이드는 그냥 버릴 수 없어요.
- 독성 물질 포함 → 환경 오염 위험
- 대형 구조물 → 매립, 재활용 어려움
-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미래엔 골칫덩이!
ㅇ 하지만 아직 미래폐자원 재활용 기술과 정책이 미비해요.
선진국 대비 재활용 기술수준 및 격차 (출처 : 2020년 기술수준평가, KISTEP, 2021)
- (2008년) 기술수준 78.9%, 기술격차 6.2년
- (2010년) 기술수준 84.3%, 기술격차 5.6년
- (2012년) 기술수준 84.1%, 기술격차 4.2년
- (2014년) 기술수준 81.8%, 기술격차 4.0년
- (2018년) 기술수준 80%, 기술격차 3.5년
- (2020년) 기술수준 80%, 기술격차 3.0년
- 격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열위에 있는 상황!
ㅇ "우리를 어쩌면 좋죠?"
ㅇ 그냥 방치하면 환경 위기! 지금부터 준비해요.
- (정부는?) 전기차 배터리 추적 시스템 확대, 태양광 패널 재활용 시설 확충, 생산자책임제(EPR) 범위 확대
- (기업은?) 폐자원 재활용 기술 R&D 투자, 친환경 설계 적용, 폐기물의 '자원화' 기반 마련
- (우리는?) 사용 후 폐기물은 분리·반납, 인증된 수거처 이용하기, 재활용 기술에 관심 갖기
ㅇ 미래폐자원은 모두가 함께 준비해야 할 숙제예요!
출처|환경산업기술원(미래폐자원 재활용 분야 신규R&D 기획연구, 2023.12, https://www.keiti.re.kr/site/keiti/ex/board/View.do?cbIdx=318&bcIdx=36401)
출처|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(2020년 기술수준평가, 2021)
(25ME-012) 태양광 패널부터 전기차 배터리까지 미래폐자원.pdf(다운로드 : 5 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