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기후변화 대응, 한국은 어디쯤 와 있나요?
ㅇ 지속가능발전목표(SDG) 13. 기후변화 대응 (Climate Action)의 글로벌 현황과 국내 현황
ㅇ 지속가능발전목표(SDG)는 전세계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2030년까지 유엔과 국제사회가 달성해야할 목표예요.
- 우리나라는 13번 목표 기후변화 대응 관련해 여전히 주요한 과제가 남아있어요.
(출처ㅣ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)
ㅇ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을 줄이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해요. 세계 속 우리나라의 위치를 살펴볼까요?
ㅇ OECD 국가별 온실가스 총배출량(2021) (단위 : 천톤CO2eq.)
- (미국) 6,340,228
- (일본) 1,162,196
- (독일) 759,600
- (한국) 676,648 → OECD 국가 중 4위
- (캐나다) 670,428
- (튀르키예) 564,390
- (호주) 527,276
- (영국) 429,489
- (이탈리아) 413,125
- (프랑스) 411,626
ㅇ OECD 국가별 1인당 온실가스 총배출량(2021) (단위 : 톤CO2eq./인)
- (호주) 20.5
- (미국) 19.1
- (캐나다) 17.5
- (뉴질랜드) 16.0
- (룩셈부르크) 14.7
- (한국) 13.1 → OECD 국가 중 6위
- (아이슬란드) 12.4
- (아일랜드) 12.3
- (체코) 11.4
- (폴란드) 10.5
(출처ㅣOECD, OECD Data Explorer)
ㅇ 폭염, 호우 등 극한기상에 따른 재난을 대비해야해요.
ㅇ OECD 국가별 자연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(2022) (단위 : 10만 명당 명)
- (리투아니아) 251.84
- (미국) 139.66
- (포르투갈) 116.82
- (덴마크) 77.01
- (스웨덴) 66.88
- (스위스) 52.70
- (뉴질랜드) 46.28
- (호주) 28.23
- (한국) 9.90 → OECD 국가 중 9위
- (프랑스) 3.05
(출처ㅣUN, SDG Indicators Database)
ㅇ 인구 10만 명당 자연재난으로 인한 실종·사망자 수 (단위 : 10만 명당 명)
- (2019) 폭염 0.06 / 폭염 제외 0.03
- (2020) 폭염 0.06 / 폭염 제외 0.09
- (2021) 폭염 0.08 / 폭염 제외 0.01
- (2022) 폭염 0.07 / 폭염 제외 0.06
- (2023) 폭염 0.17 / 폭염 제외 0.11
(출처ㅣ행정안전부, 재해연보)
ㅇ 재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난 대응 전략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는지도 중요한 지표예요.
ㅇ OECD 국가별 재난위험경감전략 이행 점수(2021)
- (1.0) 한국, 콜롬비아, 일본, 영국
- (0.95) 캐나다
- (0.925) 코스타리카
- (0.9) 칠레, 뉴질랜드, 멕시코, 포르투칼
(출처ㅣUN, SDG Indicators Database)
ㅇ 우리나라는 기후위기 적응에 관한 정책과 계획을 수립·이행하고 있어 만점인 1점으로 평가되었어요.
ㅇ 전 세계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금,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재난 대응에 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. 지속가능 미래를 위해 기후행동에 함께해요!
출처|국가통계연구원(한국의 SDG 이행보고서 2025, https://kostat.go.kr/board.es?mid=a90107000000&bid=12317)
출처ㅣ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(https://dashboards.sdgindex.org/map)
출처ㅣUN SDGN (https://www.unsdsn.org/)
출처ㅣUN SDG Indicators Database (https://unstats.un.org/sdgs/dataportal)
(25ME-007) 기후변화 대응, 한국은 어디쯤 와 있나요.pdf(다운로드 : 1 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