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목 | 페트병만 따로 모아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 | 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분류 | 폐기물자원순환 | 조회수 | 3068 | ||||||||||||||||||
게시일 | 2019-12-05 | ||||||||||||||||||||
첨부파일 | 24._페트병_재활용-300dpi.pdf | ||||||||||||||||||||
![]() 1.추진경위 - ‘수입 재활용 폐기물 추가 환경안전 관리 강화’의 후속대책 및 정부혁신 과제인 ‘범정부 협업 촉진’의 하나로 추진 - 폐페트병만을 별도로 분리배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‘패트병 재활용체계 개선’ 추진
2. 국내 페트병 재활용 현황(‘18)
3. 해외 사례 - (일본) 연 58.7만 톤 페트병 생산, 이 중 51%(30만 톤)를 국내에서 재활용하고, 34%(20만 톤)는 세척을 거치지 않은 폐기물 원료로 수출 - (EU) ’25년까지 새로 생산되는 페트병에 고급 재생원료를 25% 이상 사용토록 할 계획
4. 시범사업 실시 - 환경부는 배출 수거 형태를 공동주택(아파트), 단독주택, 거점수거 3가지로 분류 - 공동주택 페트병 별로 분리수거함 추가 설치, 단독주택 재활용 품목별 요일제 수거 추진 - 아울러 내년 1월부터 폐기물 선별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선별업체에게 지급되는 선별지원금을 선별품 품질 등급에 따라 차등화 |
|||||||||||||||||||||
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