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| [위해성평가관리] 기타 | ||
---|---|---|---|
과제명 | 영유아어린이 코호트를 이용한 환경오염물질 노출에 의한 성장 및 비만 영향 및 유전적,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| ||
연구기관 |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| ||
연구기간 | 2016.11.01.~2019.10.31. | ||
연구비 | 148,590 천원 | ||
핵심키워드 | 영유아/어린이, 코호트, 성장/비만, 환경오염물질, 후성유전체, 유전체, 기전 | ||
요약 |
■ 연구목적 및 필요성 O 출산율 저하와 더불어 미래의 인적 자원인 어린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, 선진국을 중심으로 어린이 성장발달과 건강의 환경적 요인과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 중임 O 어떤 기전을 통하여 환경오염물질이 영유아/어린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최종 결론 도출에 매우 큰 의미를 부여할 뿐 아니라, 앞으로 정부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밑거름이 될 것으로 판단 O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/어린이 코호트를 이용하여 환경오염물질에의 노출과 성장 또는 비만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, 영유아/어린이의 환경오염물질 노출에의 유전적,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탐색을 목적으로 함
■ 연구 내용 및 범위 O 영유아/어린이 코호트에서 기 확보된 자료 O 실험 분석된 항목 O 통계분석
|
||
연구성과 | ■ 연구결과 O 생애 초기에 납에 노출된 어린이는 유아시기에서의 비만도 증가로 나타남 O 이러한 경향은 특히 생후 18개월 이후의 남아에서 뚜렷한 경향을 보임 O 생애 초기에 프탈레이트에의 노출은 영유아의 스트레스 관련 지표를 증가시킴 O 증가된 스트레스 관련지표는 다양한 질환의 발생으로 연결될 수 있음 O 비스페놀 A 또는 프탈레이트 노출은 타겟 miRNA 또는 mRNA 발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 O 이들의 타겟은 대사질환, 심혈관계 질환 등의 기전으로 최종적으로 이들 질병의 발생과 관련됨 O 6개의 miRNA 발현은 3개의 비만지표 모두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냄 O 영유아/어린이의 성장 및 비만 관련 환경오염물질 탐색 O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확립하기 위한 miRNA 분석 O miRNA 후성유전학적 기전 확립을 위한 유전학적 기전(mRNA 발현) 분석
■ 활용계획 O 인생 초년기의 성장 및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오염물질을 밝혀, 영유아/어린이가 환경오염물질에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일상생활 지침서를 마련하고 관련 노출원을 차단하는 등의 환경보건정책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음 O 환경오염물질 노출 및 유전체, 후성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환경노출로 인한 질병 발생 고위험군을 판별할 수 있는 진단칩 등을 개발하여 산업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O 환경오염물질 노출로 인한 발병 기전을 파악하여 개인별 맞춤의학에 이바지 할 수 있음
■ 주요성과 O 보고서 1건 O 국내 및 국제학술대회 10건
|
||
첨부파일 | 영유아어린이_코호트를_이용한_환경오염물질_노출에_의한_성장_및_비만_영향_및_유전적,_후성유전학적_기전_연구.pdf | ||
출처 |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| ||
등록일 | 2021-02-22 |